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짓다 지어서 져서?

작성자 꿈샘 등록일 2024. 5. 16. 조회수 26

마시다 - 마셔요

지다 - 져요


밥을 짓다는 밥을 지어요인데 축약해서 져요 라고 할 수 있나요? 

밥을 지어서- 밥을 져서? 이렇게 축약되는 건가요? 

비밀번호

[답변]'짓다'[덧붙임]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5. 21.

안녕하십니까?

‘ㅣ’ 뒤에 ‘-어’가 와서 ‘ㅕ’로 줄 적에는 준 대로 적으나(가지어/가져), 어간이 '짓-'과 같이 자음으로 끝난 경우에는 '지어/지어서'로 씁니다.

고맙습니다.



[덧붙임]

한글 맞춤법 제34 항 해설에서 "‘ㅅ’ 불규칙 용언의 어간에서 ‘ㅅ’이 줄어든 경우에는 원래 자음이 있었으므로 ‘ㅏ/ㅓ’가 줄어들지 않는다."와 같이 밝히고 있으므로 이 점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한글 맞춤법 제34 항 해설에서 발췌함]

국어에서는 동일한 모음이 연속될 때 한 모음으로 줄어드는 일이 있다. 이렇게 줄어드는 현상은 필수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나타나지 않기도 한다. 먼저, 모음 ‘ㅏ, ㅓ’로 끝나는 어간에 어미 ‘-아/-어’, ‘-았-/-었-’이 결합할 때는 ‘ㅏ/ㅓ’가 줄어든다.

  • 따-+-아→따
  • 따-+-았-+-다→땄다
  • 건너-+-어도→건너도
  • 건너-+-었-+-다→건넜다

이 경우에는 두 모음이 반드시 하나로 줄어든다. 따라서 조항에서 “어울릴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라고 한 것은 항상 줄어든 형태로 적는다는 뜻이다. 즉 ‘따아, 따아서, 따아도, 따았다’나 ‘건너어, 건너어서, 건너어도, 건너었다’는 인정되지 않는다. 한편 ‘ㅅ’ 불규칙 용언의 어간에서 ‘ㅅ’이 줄어든 경우에는 원래 자음이 있었으므로 ‘ㅏ/ㅓ’가 줄어들지 않는다.

  • 낫다: 나아, 나아서, 나아도, 나아야, 나았다
  • 젓다: 저어, 저어서, 저어도, 저어야, 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