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구독'의 정의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작성자 김성훈 등록일 2024. 5. 22. 조회수 16

안녕하세요,


최근 '구독경제'라는 말이 자주 쓰이고 있습니다.


일부 웹사전 등에서는 구독경제를 정액제를 통해 지속적으로 물품이나 서비스를 받는 경제 활동. 구독형 서비스라고도 한다.라고 정의하기도 하는데요,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구독'의 의미를  책이나 신문잡지 따위를 구입하여 읽음.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질문1

정액제를 통해 지속적으로 물품이나 서비스를 받는 경제활동을 구독이라고 표현하면 표준국어대사전상 구독의 의미와 충돌하지 않나요? 가령 읽는 행위가 아니라 영상을 보거나 음악을 듣는 등이요.


법령 개정작업을 하고 있는데, 법령에 구독이라는 표현을 넣는게 적절하지 않을 것 같아 문의드립니다.


질문2

혹, 구독 외에 다른 우리말 단어가 있을까요?

비밀번호

[답변]표현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5. 23.

안녕하십니까?

설명하신 대로 '구독 경제'가 실제로 쓰임에 따라, 국립국어원 누리집 사전-우리말샘에 '구독 경제'가 (1)과 같이 경제 전문어로서 실려 있습니다. 다만, '구독'이라는 단어가 (2)에 보인 대로 일본어 투 용어여서 문의하신 경우에는 대체어를 찾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합니다. 이에, 법령에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을 쓰고자 하시는지 알려 주시면 그에 맞는 단어를 다시 찾아 보고 정보를 드리겠습니다. 우선, (3)에 보인 단어를 활용하여 표현하는 것을 고려해 보실 수는 있겠습니다.

(1) 구독^경제 경제 정기적으로 비용을 지불하고 제품이나 서비스 따위를 사용하는 경제 활동 방식.

(2)
다듬을 말구독
다듬은 말사 읽음, 사서 읽음
원어購讀, こうどく(일)
의미/용례

참고 사항 (이력 등)국어순화용어자료집-일본어 투 생활 용어(1997)

(3)

월정액제 달마다 일정하게 정하여진 액수를 지불하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도.

정기 기한이나 기간이 일정하게 정하여져 있는 것. 또는 그 기한이나 기간.

월정 ((주로 일부 명사 앞에 쓰여))달마다 정하여 놓음.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