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의 구성 자음 모음 외래어→한글 한국어→로마자
 
 


   우선 자음을 나타내는 글자들을 살펴보자. 자음을 나타내는 글자들 중 기본적인 글자는, 해당 자음을 발음할 때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자음 기본자 본뜬 발음 기관의 모양 5음(五音)  
혓등이 연구개(여린입천장)에 닿는 모양 아음(牙音)
혀끝이 윗니 바로 뒤의 잇몸에 닿는 모양 설음(舌音)
아랫입술과 윗입술이 다물어진 모양 순음(唇音)  
이의 모양 치음(齒音)  
목구멍의 모양 후음(喉音)  


   나머지 자음 글자들은 이 5개의 기본자를 바탕으로 해서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자음 /ㄷ/은 자음 /ㄴ/과 같은 발음 기관을 사용하여 입 안의 같은 위치에서 발음되는데, /ㄷ/이 /ㄴ/보다 소리가 약간 더 강하다. 그래서 /ㄷ/을 나타내는 글자는 /ㄴ/을 나타내는 글자에 획 하나를 더해서 만들어졌다. /ㅁ/과 /ㅂ/의 관계, /ㅅ/과 /ㅈ/의 관계, /ㅇ/과 /ㅎ/의 관계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우리말 자음에는 평음(平音, 예사소리), 격음(激音, 거센소리), 경음(硬音, 된소리)의 구별이 있는 것들이 있다. /ㄱ/, /ㄷ/, /ㅂ/, /ㅅ/, /ㅈ/이 평음이고 /ㅋ/, /ㅌ/, /ㅍ/, /ㅊ/이 격음이고 /ㄲ/, /ㄸ/, /ㅃ/, /ㅆ/, /ㅉ/이 경음이다. 여기서 금방 알 수 있듯이, 같은 발음 기관을 사용해서 입 안의 같은 위치에서 발음되는 자음들은 그 글자도 비슷한 모양으로 만들어졌으며, 또한 소리들 사이의 관계와 글자들 사이의 관계가 평행하게 되어 있다. 평음을 나타내는 글자에 획을 하나 더하면 격음을 나타내는 글자가 되고, 평음을 나타내는 글자를 옆으로 나란히 2개 쓰면 경음을 나타내는 글자가 되는 것이다.
평음 격음 경음
 
   자음 글자를 만든 원리를 요약하면, 기본자는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따서 만들었고, 나머지 글자들은 소리의 유사성 및 강약을 고려하여 기본자를 바탕으로 하여 획을 더해서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세종 때에 한글을 만든 사람은 당시의 우리말을 정확하게 분석한 훌륭한 언어학자였음에 틀림없다. 당시 우리말에 어떠한 소리들이 있었으며, 소리들이 서로 어떤 방식으로 구분되는지에 대해 놀랄 만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글자들 사이의 관계에도 소리들 사이의 관계가 반영되도록 글자 모양을 세심하게 만든 것이다. 또한 각 자음을 발음할 때 어떤
발음 기관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고 있었고, 발음 기관들의 모양을 상당히 정확하게 알고 있었다. 엑스레이 같은 기술이 없었던 당시에 이러한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던 것 역시 대단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