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국어대사전"의 어문 규범

광고란(廣告欄)?/광고난

정희창(鄭熙昌) / 국립국어연구원

‘廣告欄’을 ‘광고란’으로 적어야 할지 ‘광고난’으로 적어야 할지 모르겠다는 질문을 곧잘 받는다. 발음대로 적는 것이 원칙이므로 표준 발음인 [광고란]대로 ‘광고란’으로 적는 것이 옳다고 말해 주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광고난]으로 발음하기도 하고 [광고란]으로 발음하기도 하기 때문에 이 원칙은 적용하기가 어렵다. 이 때문에 “한글 맞춤법 해설”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음과 같은 원칙이 유용한 경우가 많다.

    (1) ‘量’, ‘欄’이 고유어와 외래어 다음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양’, ‘난’으로 적고 한자어 다음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량’, ‘란’으로 적는다.

이러한 원칙은 발음에 근거한 원칙보다 적용하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국어의 단어 중에는 이처럼 두음법칙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더 존재한다. 예를 들어 ‘Gas爐’의 경우 ‘가스로’인지 ‘가스노’인지 분명하지 않으며 ‘난초’의 하나인 ‘거미난’이 ‘거미란’인지 ‘거미난’인지 분명하지 않은 것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지금까지 언급되지 않았던 이러한 경우에 대해 다음과 같은 원칙을 밝힘으로써 혼란이 없도록 했다.


    (2) 고유어·외래어 다음에 두음법칙을 적용하는 경우

난/란(蘭): 한자어 다음에는 ‘란’, 고유어·외래어 다음에는 ‘난’
    예) 문주-란, 금자-란, 은-란/ 거미-난, 제비-난, 지네발-난
난/란(欄): 한자어 다음에는 ‘란’, 고유어·외래어 다음에는 ‘난’
    예) 가정-란, 독자-란/ 어린이-난, 가십-난(gossip欄)
양/량(量): 한자어 다음에는 ‘량’, 고유어·외래어 다음에는 ‘양’
    예) 노동-량, 작업-량/ 구름-양, 알칼리-양(alkali量)
예/례(例): 한자어 다음에는 ‘례’, 고유어·외래어 다음에는 ‘예’
    예) 인용-례, 실례
농/롱(籠): 한자어 다음에는 ‘롱’, 고유어·외래어 다음에는 ‘농’
    예) 부담-롱(負擔籠), 오동-롱(梧桐籠), 장롱(欌籠) / 옷-농, 옹-농, 자개-농, 대-농
요/뇨(尿): 한자어 다음에는 ‘뇨’, 고유어·외래어 다음에는 ‘요’
    예) 지방-뇨(脂肪尿)/ 알칼리-요(alkali尿)
난/란(卵): 한자어 다음에는 ‘란’, 고유어·외래어 다음에는 ‘난’
    예) 무정-란(無精卵)/ 모자이크-난(mosaic卵)
난/란(亂): 한자어 다음에는 ‘란’, 고유어·외래어 다음에는 ‘난’
    예) 동학-란(東學亂), 의병-란(義兵亂)


    (3) 한자어·외래어·고유어 다음에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

역/력(曆): 한자어·외래어·고유어 다음에 모두 ‘력’
    예) 태양-력, 율리우스-력(Julius曆)
역/력(力): 한자어·외래어·고유어 다음에 모두 ‘력’
    예) 마찰-력(摩擦力), 디자인-력(design力)
노/로(爐): 한자어·외래어·고유어 다음에 모두 ‘로’
    예) 원자-로, 전기-로, 가스-로(gas爐), 머플-로(muffle爐)
요/료(料): 한자어·외래어·고유어 다음에 모두 ‘료’
    예) 수업료, 강의료, 디자인료(design料), 모델료(model料)
논/론(論): 한자어·외래어·고유어 다음에 모두 ‘론’
    예) 경험론(經驗論), 반뒤링-론(反Duhring論), 반마키아벨리-론(反Machiavel論)
녹/록(綠): 한자어·외래어·고유어 다음에 모두 ‘록’
    예) 메틸-록(methyl綠), 브롬크레졸-록(bromkresol綠),
유/류(類): 한자어·외래어·고유어 다음에 모두 ‘류’
    예) 감귤-류(柑橘類), 거미-류(--類), 등딱지-류(---類), 볼복스-류(volvox類)
누/루(樓): 한자어·외래어·고유어 다음에 모두 ‘루’
    예) 경회-루(慶會樓), 마천-루(摩天樓), 웨양-루(Yueyang樓), 황허-루(Huanghe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