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의 국어 오용 사례

방송 언어와 겹받침의 발음

최용기(崔溶奇) / 국립국어연구원

방송 언어는 방송을 통해 표출(表出)되는 모든 언어를 뜻한다. 넓은 의미의 방송 언어는 일상 언어와 마찬가지로 구어(口語)인 음성 언어와 문어(文語)인 문자 언어로 나눌 수 있고, 좁은 의미의 방송 언어는 방송인이 방송에서 사용하는 음성 언어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방송 언어는 방송인들의 연수와 교육을 통해 상당히 정확해졌다고 생각한다. 특히 각 방송사들이 자체 운영하는 모임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것은 상당히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만하다.

여기서는 방송 언어와 관련하여 겹받침의 발음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말에서 겹받침의 발음은 매우 혼란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겹받침의 발음이 혼란을 보이는 것은 전반적으로 표준 발음법에 대한 인식의 부족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겹받침의 발음이 일률적이지 못한 점도 혼란을 더욱 가중시키는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은 방송 언어뿐 아니라 일상 언어에서도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방송 언어에 있어서 겹받침의 발음이 혼란스러우면 시청자나 청취자는 우리말의 표준 발음이 그렇게 바뀐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방송인은 이런 현상에 주의를 해서 발음을 해야 한다.

우리말의 겹받침에는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등이 있다. 이들 겹받침의 발음은 그 발음 양상이 일률적이지 못하다. 그래서 이들을 따로 익혀 두어야만 한다.

먼저 이들 겹받침은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 둘 중 하나만 발음되고 하나는 탈락하는데, 첫 번째 자음이 발음되고 두 번째 자음이 탈락하는 부류와 첫 번째 자음이 탈락하고 두 번째 자음이 발음되는 부류가 있다. ‘ㄳ, ㄵ, ㄶ, ㄼ, ㄽ, ㄾ, ㅀ, ㅄ’은 전자에 해당하고, ‘ㄺ, ㄻ, ㄿ’은 후자에 해당한다.


넋[넉], 넋과[넉꽈], 넋도[넉또]
앉다[안따], 앉고[안꼬]
많다[만타], 많고[만코]
여덟[여덜], 여덟도[여덜도]/ 넓다[널따], 넓고[널꼬]
외곬[외골]
핥다[할따], 핥고[할꼬]
싫다[실타], 싫고[실코]
값[갑], 값도[갑또]/ 없다[업:따], 없고[업:꼬]
흙[흑], 흙도[흑또] / 읽다[익따], 읽지[익찌], 읽는[잉는]
삶[삼:], 삶도[삼:도] / 삶다[삼:따]
읊다[읍따], 읊고[읍꼬]

그런데 위와 같은 일반 원칙에서 벗어나는 경우도 있다. ‘ㄼ’ 받침을 갖는 단어 중에서 ‘밟다, 넓죽하다, 넓적다리’ 등은 [밥:따], [넙쭈카다], [넙쩍따리]로 발음해야 한다. 또한 ‘ㄺ’ 받침을 갖는 단어가 용언인 경우, 뒤에 ‘ㄱ’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오면 두 번째 자음 ‘ㄱ’이 탈락하고 ‘ㄹ’이 발음된다. 예를 들면 ‘맑고[말꼬], 맑거나[말꺼나], 읽고[일꼬], 읽거나[일꺼나]’처럼 발음해야 한다. 그러나 체언의 경우는 ‘흙과[흑꽈]’처럼 발음해야 하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
    겯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할 때에는 뒤의 것만을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옮겨 발음하면 된다. 예를 들면, ‘흙이[흘기], 흙을[흘글], 닭이[달기], 여덟이[여덜비], 여덟을[여덜블]’처럼 발음해야 한다.
    방송인은 항상 공인(公人)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스스로 주의를 하여 발음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런 자각과 노력이 있다면 얼마든지 정확한 발음을 구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