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언어의 오용 사례

광고 언어의 외래어 표기(2)

최용기(崔溶奇) / 국립국어연구원

광고에서 외래어 및 외국어 사용이 점점 늘어가고 있다. 특히 여성 잡지에서 의류 광고는 한글을 찾아보기조차 힘든 데도 있다. 지난 호에 이어 광고 언어 중 잘못 표기된 외래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는 바른 표기를 보임.)

(1) 여성 캐쥬얼(→캐주얼, casual) 판매 ( 백화점)
(2) 바비큐(→바비큐, barbecue) 기계 ( 산업)
(3) 잠망경 스트로우(→스트로, straw) ( 유업)
(4) 겨울 쉐타 (→스웨터, sweater) 판매 ( 백화점)

영어에서 들어온 외래어를 적을 때에는 영어 발음을 그대로 옮겨 적는 것이 아니고 국제 음성 기호(IPA)와 한글 대조표에 따라 적어야 한다. 또한 국어의 특성 때문에 구개음 뒤에 이중 모음이 있는 ‘쟈, 져, 죠, 쥬, 챠, 쳐, 쵸, 츄’는 ‘자, 저, 조, 주, 차, 처, 초, 추’로 적어야 하고, 중모음 [ou]는 ‘오’로 적어야 한다. (1)의 ‘캐쥬얼’은 흔히 ‘레져, 비젼, 벤쳐, 챤스’처럼 이중 모음으로 적으려는 잘못된 습관 때문에 그렇게 적은 것인데, 이것은 옳지 않다. 이는 ‘레저, 비전, 벤처, 찬스’로 적어야 한다. (2)의 ‘바베큐’는 원어 때문에 그렇게 적은 경우인데, 이것도 잘못이다. 흔히 ‘레포트, 소세지, 엘레베이터’처럼 적는 것도 ‘리포트, 소시지, 엘리베이터’로 적어야 한다. (3)의 ‘스트로우’은 중모음 [ou]를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은 것인데, 이것도 옳지 않다. 흔히 ‘로울러, 스노우, 보울링, 윈도우’라고 적는 것도 ‘롤러, 스노, 볼링, 윈도’로 적어야 한다. (4)의 ‘겨울 쉐타’는 반모음 [w]를 잘못 표기한 경우이다. 반모음 [w]는 뒤에 모음이 오면 모음과 결합하여 ‘와, 워, 왜, 웨’로 적히지만, 자음 뒤에 반모음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적어야 한다. 이런 예로 ‘스윙(swing), 트위스트(twist)’ 등이 있다. 다만, [gw], [hw], [kw]는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위의 용례들은 표기도 잘못되었지만, ‘캐주얼’, ‘바비큐’, ‘스트로’는 알기 쉬운 말로 바꿀 수도 있는 말이다. ‘캐주얼’은 ‘평상복’으로, ‘바비큐’는 ‘통구이’, ‘스트로’는 ‘빨대’로 각각 고쳐 쓸 수 있다. 가능하면 쉬운 말로 고쳐 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5) 목동 아울렛 (→아웃렛, outlet) 오픈(→개업) ( 백화점)
(6) 프레쉬맨 (→프레시맨, freshman) 환영 ( 랜드)
(7) 하일라이트 (→하이라이트, highlight) 문제집 ( 서적)

외래어에서 복합어의 표기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어야 한다. (5)의 ‘아울렛’은 ‘아웃(out)’과 ‘렛(let)’이 결합한 복합어이므로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어야 한다. 복합어를 한 단어로 보아 표기하면 이들이 각각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와 아주 달라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를 살려서 적도록 한 것이다. (6)의 ‘프레쉬맨’도 ‘프레시(fresh)’와 ‘맨(man)’이 결합한 복합어이므로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어야 한다. (7)의 ‘하이라이트’도 ‘하이(high)’와 ‘라이트(light)’가 결합한 복합어이다. 흔히 ‘헤들라이트(headlight), 부크메이커(bookmaker)’로 적는 것도 ‘헤드라이트, 북메이커’로 적어야 옳다.
    위의 예도 쉬운 우리말로 고칠 수 있는 말들이다. ‘아웃렛’은 ‘할인 판매장’으로, ‘프레시맨’은 ‘신입생’으로, ‘하이라이트’는 ‘요점 (정리)’으로 각각 고쳐 쓸 수 있다. 좀 더 쉬운 우리말로 고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광고는 언어생활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에게 익숙하지 못한 외래어로 된 광고는 전달 효과도 그만큼 떨어진다. 가능하면 광고주는 알기 쉬운 말을 사용토록 해야 할 것이며, 불가피하게 외래어를 사용할 경우에도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정확하게 표기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