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살어리랏다 형태소분석 및 문법적 해석

작성자 고민중 등록일 2024. 5. 24. 조회수 31

안녕하세요.

중세국어 공부 중 의문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중고생용 참고서나 문제집에서 흔히 청산별곡의 ‘살어리랏다’가 단순히 ‘살겠노라’ 정도로 번역이 되곤 하더라고요.


그런데 제가 나름 형태소 분석을 해 보니


살- + -거- + -리- + -더- + -옷- + -다


라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회상법 선어말어미 ‘-더-’와 미래시제를 나타내는 ‘-리-’가 함께 쓰인 것으로 분석이 되는데

우선 이 분석이 맞는지, 그리고 국어학적으로 타당하다고 보는 견해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국어 사전에 ‘-리랏다’라는 어미 자체가 ‘-겠더구나’로 등재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렇게 해석했을 경우 청산별곡의 전체 방향성과 조금 다르지 않나 하는 생각에 질문드립니다.

혹 답변이 곤란하시다면 어떤 논문이나 자료를 참고하면 좋을지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비밀번호

[답변]중세 국어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5. 27.

안녕하십니까?

이곳은 표준국어대사전과 어문 규범에 대해 문의하는 곳으로서 중세 국어와 관련하여서는 답변을 드리기 어렵고, 특정 서적이나 논문을 추천해 드리기도 어렵습니다. 이 점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질문해 주셨으나 도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