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재질문] [배달학] '뜨내기'는 접사'-내기'가 붙은 파생어인가

작성자 임명복 등록일 2024. 6. 4. 조회수 20








==================================================================

질문자 : 김봉규                               등록일시 : 2024. 6. 4.

==================================================================

질문자 : ha                               등록일시 : 2024. 6. 2.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풋내기'나 '시골내기'와 는 달리 '뜨내기'의 경우에는  '뜨-내기'가 아닌 '뜨내기'로 표제어가 제시되어 있어,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단순한 표기 오류가 아니라면, 파생어가 아니라 단일어로 보고 있는 것일까요? 혹은 단일어는 아닌 듯하지만 단어형성과정이 명확하지 않아서 부득이하게 그렇게 표기된 것일까요?




==================================================================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4. 6. 3.

안녕하십니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뜨내기'의 단어 형성 과정이 불분명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내기'는 주로 명사나 명사성 어근 뒤에 결합하는데, '뜨내기'를 '뜨-내기'로 분석하는 경우 '뜨-'를 설명하기가 쉽지 않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바로잡을 말(2057)-‘뜨내기


'풋내기'의 '풋-'은 '덜 익어서 푸른'이라는 뜻을 지닌 형용사성 접두사입니다. '시골-내기'의 '시골'과 같은 명사성 어근이 아닙니다. '뜨다'는 


○1. 뜨다3동사1 【…에서】【 …다른 곳으로 가기 위하여 있던 곳에서 다른 곳으로 나다.

-고향에서 뜨다.

-그 자리에서 지 말고 기다리시오.

-그는 먹고살 길이 없어 고향을 .


처럼 '뜨-'가 동사성 어근이라 '풋-'과 크게 다를 바 없습니다. '새-내기'의 '새-'도 관형사성 접두사입니다. 따라서 '뜨내기'는 

  <o:p></o:p>

○2. 뜨내기명사」 「1일정한 거처가 없이 돌아다니는 사람.뜨내기꾼


처럼 '뜨다'에서 파생된 명사이기에, ○2를 '뜨-내기'로 바로잡아야 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것은 사전 편찬자(들)나 검토자(들)가 상관성 있는 이들 피설명어(lemma=풋내기, 새내기, 시골내기, 뜨내기...등)를 모두 한 자리에 놓고 상호 비교 검토 확인 판단하는 과정을 소홀히 했거나 간과한 까닭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오호 통재라....

1」 일정한 거처가 없이 돌아다니는 사람.뜨내기꾼???

이는 뜨내기가 아니라 떠돌이 입니다.

떠 = 떠

돌 = 돌

아 = ㅇ

니 = ㅣ

람....떠 돌 ㅇ ㅣ = 떠돌이


 '풋-'은 '덜 익어서 푸른'이라는 뜻을 지닌 형용사성 접두사????

푸성귀에서 나온 것

푸 = 푸

성 = ㅅ


나 = 나

것 =  ㄱ...푸 ㅅ 나 ㄱ = 풋나ㄱ = 풋나기 = 풋내기

대부분 풋나기의 풋을 푸른 푸릇푸릇한 이라는 뜻인줄 알지만 푸성귀에서 나온 단어입니다.

풀 사이에서 자란 잎사귀

풀 = 푸


사 = ㅅ

서 = ㅓ



잎 = ㅇ

귀 = 귀....푸 ㅅ ㅓ ㅇ 귀 = 푸성귀 

여러가지 잡풀(잡초)들  사이에서 자란 잎사귀 채소이니 만큼 정상적일 수 없는

그야말로 여리고 약하고 서툰... 풋나기 입니다.


때가 되면 드나드는 것

때 = ㄸ


드 = ㅡ

나 = 나


것 = ㄱ....ㄸ ㅡ 나 ㄱ = 뜨나ㄱ = 뜨나기 = 뜨내기


시골에서 나고 자란 것

시 = 시

골 = 골


나 = 나


것 = ㄱ....시 골 나 ㄱ = 시골나기 = 시골내기




















비밀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