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에서 <우리말이 우리의 미래입니다>라고 적었습니다.

작성자 조종근 등록일 2024. 6. 15. 조회수 18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에서 <우리말이 우리의

미래입니다>라고 적었습니다.

①『띄어쓰기도 하지 않고 <우리말>처럼 적는 것이

옳습니까?

그렇다면 <우리말>처럼 <우리집><우리가정>

<우리자동차><우리아주머니>도 옳을 수 있는지

답변/答辯을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아니면 <우리 말이 우리의 미래입니다>

그리고 <우리 말이 우리의 미래입니다.>마침표까지도

적음이 옳습니까?

③『살충제/殺蟲劑/COMBAT의 용기의 겉에 <바퀴용>으로

적었는데 과연 이 <바퀴용>이 옳습니까?

그렇다면 <바퀴벌레용><바퀴용>도 옳다면

<바퀴용>처럼 <무당벌레용><무당용>으로 적어도

옳을 수 있는지답변/答辯을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그리고빗물빗자루비의 물

비의 자루해석/解釋한다면싯가

빗장시의 가비의 장해석/解釋함이

옳은지답변/答辯을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싯가댓가에서발음/

發音이 되니싯가댓가가 옳고 그러나

시세대가/大家는 이에해당/該當이 없으니

싯세댓가/大家는 그릇된기록/記錄

뿐이겠지요?

위의 ,,,에 대한답변/答辯을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비밀번호

[답변]띄어쓰기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6. 17.

안녕하십니까?

1. '우리나라 사람의 말'을 의미하는 '우리말'은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쓰나, 나머지 단어들은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씁니다.

2. 문장 부호 규정에 따르면 문장 형식으로 된 제목이나 표어 등에는 마침표, 물음표를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되, 꼭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예외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

3. '바큇과의 바퀴'를 이르는 동물 전문어는 '바퀴', '바퀴벌레'로 쓸 수 있습니다.

4. 질문의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우나, '시가'와 '빗장'의 뜻풀이를 문의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시가(時價)'는 '일정한 시기의 물건값'을 의미하고, '빗장'은 '문을 닫고 가로질러 잠그는 막대기'를 의미한다는 점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