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줄임표 사용법

작성자 바보 등록일 2024. 6. 16. 조회수 36

줄임표를 문장 앞에 붙여 써도 되나요?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는 옳은 문장인가요?

아니면 "... 안녕하세요?"같이 띄어서 적어야 하나요?

그것도 아니라면 "....", "안녕하세요?"처럼 두 문장으로 적어야 하나요?




※이동통신 기기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비밀번호

[답변]줄임표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6. 17.

안녕하십니까?

온라인 가나다는 어문 규범을 기준으로 답변을 드리고 있습니다. 어문 규범에서는 문장 앞에 쓰이는 줄임표에 대해서는 명시적으로 그 쓰임을 밝히고 있지 않습니다. 아래에 줄임표의 내용을 첨부해 드리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줄임표

  • 할 말을 줄였을 때 쓴다.
    •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해설

    할 말을 줄였음을 나타낼 때는 줄임표를 쓴다. 이때는 줄임표로써 문장이 끝나는 것이므로 줄임표 뒤에는 마침표나 물음표 또는 느낌표를 쓰는 것이 원칙이다.

    • (1) 그는 최선을 다했다. 그러나 성공할지는…….
    • (2) 한준이는 “하늘에 별이 저렇게 많을 수가…….”라고 하면서 천체 망원경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 쓴다.
    • “빨리 말해!”
    • …….”
    해설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는 줄임표를 쓴다. 이때는 줄임표만으로 문장의 기능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줄임표 뒤에는 마침표를 쓰는 것이 원칙이다.

    • (3) “어디 갔다 이제 오는 거야?”
    • …….”
  •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 쓴다.
    • ‘고유’라는 말은 문자 그대로 본디부터 있었다는 뜻은 아닙니다. …… 같은 역사적 환경에서 공동의 집단생활을 영위해 오는 동안 공동으로 발견된, 사물에 대한 공동의 사고방식을 우리는 한국의 고유 사상이라 부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해설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는 줄임표를 쓴다. 줄임표로 표현되는 부분은 문장의 일부분일 수도 있고, 여러 문장일 수도 있다. 그래서 이때는 줄임표의 앞뒤에 쉼표나 마침표 따위를 쓰지 않는다.

    • (4) 붕당의 폐단이 요즈음보다 심한 적이 없었다. 처음에는 사문에 소란을 일으키더니, 지금은 한쪽 사람을 모조리 역적으로 몰고 있다. …… 근래에 들어 사람을 임용할 때 모두 같은 붕당의 사람들만 등용하고자 한다.
    • (5) 육십갑자: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 신유, 임술, 계해
  • 머뭇거림을 보일 때 쓴다.
    • “우리는 모두…… 그러니까…… 예외 없이 눈물만…… 흘렸다.”
    해설

    머뭇거림을 보일 때는 줄임표를 쓴다. 두 어구 사이에 얼마간의 동안이 있음을 나타낸다.

    • (6) 저기…… 있잖아………… 너한테 할 말이 있어.
  • 점은 가운데에 찍는 대신 아래쪽에 찍을 수도 있다.
    •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 “실은...... 저 사람...... 우리 아저씨일지 몰라.”
    해설

    줄임표는 가운데에 여섯 점을 찍는 것이 원칙이나 아래에 여섯 점을 찍는 것도 허용된다. 컴퓨터 등에서의 입력을 간편하게 함으로써 부호 사용의 편의를 높이고자 한 것이다. 점을 아래에 찍는 경우에도 마침표가 필요한 경우에는 마침표를 찍어야 한다. 마침표를 포함하면 아래에 일곱 점을 찍는 셈이다.

    • (7) 그는 최선을 다했다. 그러나 성공할지는.......
    • (8) 저기...... 있잖아...... 나...... 너한테 할 말이 있어.
  • 점은 여섯 점을 찍는 대신 세 점을 찍을 수도 있다.
    •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 “실은... 저 사람... 우리 아저씨일지 몰라.”
    해설

    줄임표는 여섯 점을 찍는 것이 원칙이나 세 점을 찍는 것도 허용된다. 가운데에 세 점을 찍거나 아래에 세 점을 찍어서 나타낼 수 있다. 마침표의 사용 여부는 여섯 점을 찍는 경우와 다르지 않다.

    • (9) “빨리 말해!”
    • .”
    • (10) “빨리 말해!”
    • “....”
  • 줄임표는 앞말에 붙여 쓴다. 다만, (3)에서는 줄임표의 앞뒤를 띄어 쓴다.
    해설

    ■ 줄임표의 띄어쓰기: 줄임표는 앞말에 붙여 쓰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제21항의 (3)’과 같은 용법으로 쓸 때는 앞뒤를 띄어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