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찹쌀, 멥쌀, 입쌀, 좁쌀/보리쌀

작성자 김도호 등록일 2024. 6. 19. 조회수 28

1. 쌀과 결합해서 이루어진 단어 중


찹쌀, 멥쌀, 입쌀, 좁쌀은 ㅂ이 덧나는데


환경이 다르지 않은 것 같은데 보리쌀은 왜 ㅂ이 덧나지 않을까요?


2. 사전에 보리쌀은 표제어에 '보리-쌀'로 올라가 있어서 복합어임을 알 수 있는데,


찹쌀, 멥쌀, 입쌀, 좁쌀은 표제어에 붙임표가 없어 단일어처럼 보이는데,


단일어로 처리하는가요? 아니면 왜 '보리쌀'과 표제어 표기 방식이 다를까요?

비밀번호

[답변]찹쌀, 보리쌀 등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6. 26.

안녕하십니까?

1. 말씀하신 것처럼 '쌀'의 옛말과 그 흔적으로 인해 '멥쌀, 입쌀, 좁쌀' 등에는 'ㅂ'이 표기에 남아 있게 되었으나, 이는 몇몇 단어로 한정됩니다. '보리쌀'에는 'ㅂ'이 덧나지 않은 형태로 굳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2. 한글 맞춤법 제31 항의 해설에 따르면 ‘쌀'은 옛말에서 단어 첫머리에 ‘ㅂ’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는 후에 단일어에서 ‘ㅂ’이 탈락되었는데 합성어에서는 ‘ㅂ’이 탈락되지 않고 남게 되었다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찹쌀, 멥쌀, 입쌀, 좁쌀' 등도 합성어로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어원적으로는 복합어로 볼 수 있으나 현재 이들의 형태 경계가 모호해져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그 경계를 표시하지 못한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