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거절할 수 있다 = 거절하여 한다?

작성자 강동건 등록일 2024. 6. 20. 조회수 13
오늘 학교 시험 성적이 발표가 되었고 채점 내역이 공개되었는데 의문이 생겼습니다. 문제의 보기에 "No fly list는 항공기 탑승이 거절되는 사람의 명단으로 탑승 수속 시 No-fly 승객의 이름이 표출되면 탑승 수속을 거절할 수 있다" 라는 항목이 있었고 실제로 No fly 리스트에 등재된 사람은 항공기 탑승이 거절됩니다. 하지만 "거절할 수 있다" 가 아닌 "거절하여야 한다." 가 맞으므로 틀린 보기라고 하는데 이 상황에서 "거절할 수 있다" = "거절 해야한다" 로도 통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경우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비밀번호

[답변]의미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6. 21.

안녕하십니까?

시험 내용은 학교의 교과 과정과 관련한 것이므로 이곳에서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선생님과 상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에 '-ㄹ 수 있다', '-여야 하다'의 쓰임을 첨부해 드리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있다 「009」 「형용사」 ((‘-ㄹ 수 있다’ 꼴로 쓰여))어떤 일을 이루거나 어떤 일이 발생하는 것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말.

하다 「036」 「보조 동사」 ((‘이다’의 어간이나 용언 뒤에서 ‘-어야 하다’ 구성으로 쓰여))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거나 앞말이 뜻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