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우리

작성자 윤상순 등록일 2024. 6. 22. 조회수 10

외국인들이 흔히 물어보는 질문 중에, 왜 '나의 것'을 '우리의 것'으로 표현하느냐는 질문과 관련해서, 일부 사전(두산 동아 등등)을 찾아보면 '우리'가 '나의'라는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한마디로 우리에 여러가지 뜻(기와를 세는 단위, 동물을 가두는 우리 등등)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나의'라는 뜻이라는 것이지요. 


  일단 우리말 샘에서는 '우리'라고 검색했을 때 위의 의도가 담긴 설명은 분명히 없습니다.

위의 의미로 한국인들은 항상 사용하고 있고, 외국인들처럼 그 뜻을 혼동하지는 않습니다.  혹시 우리가 '나의'로 사용되기 시작한 초창기의 자료나, 근거, 언제부터 비롯되었는지, 또 '나의'라는 의미가 중간의 어느 시점에서 생기게 된 건지 알 수 있는 정보가 있을까요? 아니면 저 사전이 잘못되었다는 의견이나... 좀 더 어원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비밀번호

[답변]대명사 '우리'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6. 24.

안녕하십니까?

말씀하신 정보를 담은 자료를 찾을 수가 없습니다. 다만, 문의하신 경우에 쓰는 '우리'는 대명사로서 아래에 보인 쓰임 중에서 (3)에 해당하며, 이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우리'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는 점을 알려 드립니다.

(1) 우리 「대명사」 말하는 이가 자기와 듣는 이, 또는 자기와 듣는 이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2) 우리 「대명사」 말하는 이가 자기보다 높지 아니한 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3) 우리 「대명사」 ((일부 명사 앞에 쓰여))말하는 이가 자기보다 높지 아니한 사람을 상대하여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낼 때 쓰는 말.
우리 엄마
우리 아기
우리 학교 교정은 넓지는 않지만 깨끗하다.
시간 나면 언제 우리 집에 한번 들르세요.
우리 동생을 형님이 장가들여 주시는 셈 치고 애를 좀 많이 쓰시구려.≪안정효, 하얀 전쟁≫
알고 봤더니, 그분이 우리 고향 사람이에요. 고향의 알 만한 사람이더라, 그 말이에요.≪이호철, 문≫

<참고> '우리' 역사 정보

설명현대 국어 ‘우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우리’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우리
세기별 용례
15세기 : ((우리))
執杖釋이 닐오 우리 家門앤 조 야 사회 맛니다 ≪1447 석상 3:12ㄱ
16세기 : ((우리))
올니 우리 어버 나를 야 호라 시다 ≪1510년대 번노 상:6ㄱ
17세기 : ((우리))
杞를 折티 말올 어다 엇디 敢히 愛리오 우리 父母를 畏얘니라 ≪1613 시언 4:14ㄴ
18세기 : ((우리))
형아 萬福 형아 萬福 아디 못게이다 형이 우리 두 아 브시니 므 일이 잇니잇고 ≪1721 오륜전비 1:2ㄴ
19세기 : ((우리))
아 놀 드시니 오 우리 뭇 셩을 셔게 호미 님금의 공이 아니니 ≪1832 십구 1:12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