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재질문] [재질문] 찹쌀, 멥쌀, 입쌀, 좁쌀 등은 단일어인가요, 합성어인가요?

작성자 김도호 등록일 2024. 6. 25. 조회수 17

답변 고맙습니다.


'좁쌀' 등의 단어가 '형태 경계가 모호해져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그 경계 표시를 하지 못하고, 그래서 조어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없다.'고 답변하셨는데...


1. 언어 현상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나 의견이 있을 수는 있지만, 단어의 의미나 단일어/복합어 여부는  우리말에 대해서 최고의 권위을 가진 국립국어원에서 판단해 주어야 하지 않을까요?


2. '좁쌀'의 경우를 보면서, 'ㅎ'소리가 덧나는 단어 '살코기, 수캐, 머리카락'도 사전을 찾아보니, '살코기, 수캐'는 표제어에 붙임표가 없고, '머리카락'은 표제어에 '머리-카락'으로 나와 있어 복합어임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둘의 차이가 뭘까요?


3. '수캐'와 '수-고양이' 표제어로만 보면, '수캐'는 단일어, '수고양이'는 파생어가 되는데, 일반 언중들의 언어 감각과는 너무 다른 처리가 아닐까요?





==================================================================

질문자 : 김도호                               등록일시 : 2024. 6. 21.

<p> 답변 고맙습니다.</p><p>
</p><p>그래서 결론은 공시적으로 볼 때, 

찹쌀, 멥쌀, 입쌀, 좁쌀 등은 단일어인가요, 합성어인가요?




==================================================================

질문자 : 김도호                               등록일시 : 2024. 6. 19.

</p><p>1. 쌀과 결합해서 이루어진 단어 중</p><p>
</p><p>찹쌀, 멥쌀, 입쌀, 좁쌀은 ㅂ이 덧나는데</p><p>
</p><p>환경이 다르지 않은 것 같은데 보리쌀은 왜 ㅂ이 덧나지 않을까요?</p><p>
</p><p>2. 사전에 보리쌀은 표제어에 '보리-쌀'로 올라가 있어서 복합어임을 알 수 있는데,</p><p>
</p><p>찹쌀, 멥쌀, 입쌀, 좁쌀은 표제어에 붙임표가 없어 단일어처럼 보이는데,</p><p>
</p><p>단일어로 처리하는가요? 아니면 왜 '보리쌀'과 표제어 표기 방식이 다를까요?</p>


==================================================================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4. 6. 21.

<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안녕하십니까?</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 </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1. 말씀하신 것처럼 '쌀'의 옛말과 그 흔적으로 인해 '멥쌀, 입쌀, 좁쌀' 등에는 'ㅂ'이 표기에 남아 있게 되었으나, 이는 몇몇 단어로 한정됩니다. '보리쌀'에는 'ㅂ'이 덧나지 않은 형태로 굳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2. 한글 맞춤법 제31 항의 해설에 따르면 ‘쌀'은 옛말에서 단어 첫머리에 ‘ㅂ’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는 후에 단일어에서 ‘ㅂ’이 탈락되었는데 합성어에서는 ‘ㅂ’이 탈락되지 않고 남게 되었다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찹쌀, 멥쌀, 입쌀, 좁쌀' 등도 합성어로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어원적으로는 복합어로 볼 수 있으나 현재 이들의 형태 경계가 모호해져 표준 국어 대사전에서는 그 경계를 표시하지 못한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p>

<p></p>


==================================================================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4. 6. 24.

<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안녕하십니까?</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 </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이전 답변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현재 이들의 형태 경계가 모호해져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그 경계 표시를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조어에 대한 판단을 명확히 해 드릴 수 없다는 점을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학생이시라면 가지고 계신 문법서의 내용을 판단 기준으로 삼으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p>

비밀번호

[답변]조어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6. 27.

안녕하십니까?

1. 조어에 대한 판단은 학자마다 견해 차이가 있을 수 있는 부분이므로 이를 국어원에서 명백하게 판단해 드리기는 어렵다는 점을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2. 한글 맞춤법 제31항에서 '머리카락'은 '살코기' 등과 함께 보이고 있기는 하나, '머리'가 'ㅎ'을 가지고 있었다는 내용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또한 우리말샘의 '머리카락'에 대한 역사 정보에서 '가락'이 '카락'으로 변한 이유가 분명하지 않다고 서술하고 있습니다.

3. 앞선 답변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표제어 경계 표시가 모호해져 사전에서 경계를 표시하지 못한 것일 뿐, 표제어 정보로만 그와 같이 판단하기는 어려울 듯합니다. 조어에 대한 판단과 관련하여서는 국어 문법서나 연구 논문을 두루 참고하시기를 권하여 드립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