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재질문] 도저하다와 도저히

작성자 익명 등록일 2025. 1. 19. 조회수 1,234


이전 질문자의 의견에 보충해서 질문합니다.


‘도저하다’는  사전 상의 의미로

1. 학식이나 생각, 기술 따위가 아주 깊다.

2. 행동이나 몸 가짐이 빗나가지 않고 곧아서 훌륭하다.

라는 뜻인 반면


‘도저히’는

아무리 하여도

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두 단어의 어근의 원형의 의미가 한자는 같아도 다른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에 대해서 한글맞춤법 25항이 적용될 수 있는지 궁금해 여쭤봅니다.




==================================================================

질문자 : 익명                               등록일시 : 2023. 5. 24.

<p>한글맞춤법 25항을 보면 <  ‘-하다’ 붙는 어근에 ‘-히’나 ‘-이’가 붙어서 부사가 되거나, 부사에 ‘-이’가 붙어서 뜻을 더하는 경우에는 그 어근이나 부사의 원형을 밝혀서 적는다 . > 라고 되어 있습니다.</p><p>
</p><p>깨끗하다나 꾸준하다라는 말이 있으니 깨끗이와 꾸준히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겠는데, ‘도저하다’라는 단어가 ‘도저히’와 의미적으로 관련이 없어 보이는데도 25항의 적용을 받을 수 있는 건가요?</p>


==================================================================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3. 5. 25.

<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안녕하십니까?</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 </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도저히'는 '도저하다'의 어근 '도저'에 접사 '-히'가 결합한 것으로, 해당 조항의 예로 제시하는 데에 문제가 없습니다. 즉 해당 조항은 부사를 형성하는 어근의 원형을 밝혀 적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는데, 말하고자 하는 내용과 용례 '도저히'가 서로 상충되지 않는다는 점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p>




※이동통신 기기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답변]한글 맞춤법 제25 항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5. 1. 20.

안녕하십니까?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도저하다'와 '도저히'의 어근인 '도저'는 같은 한자로 풀이되며, 의미적 확장의 방향에 따라 구체적인 의미는 조금 다를지라도 같은 어근에 해당하므로, 한글 맞춤법 제25 항의 적용을 받는다고 이해하실 수 있겠습니다. 즉 '도저하다'와 '도저히'는 '도저'라는 어근에서 파생된 것인데, 같은 어근에서 파생되어도 파생 과정에서 뜻이 달라지기도 하므로 이 점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비밀번호 확인

닫기

질문 작성 시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