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ㅡ'탈락과 매개 모음

작성자 익명 등록일 2025. 1. 29. 조회수 1,229

'ㅡ'탈락은 3가지 경우에 발생하는 음운 변동으로 알고 있습니다.

  1. 1. 어간 말음 'ㅡ'가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경우
    2. 'ㅡ'로 시작하는 어미의 'ㅡ'가 어간 말 모음 또는 'ㄹ' 앞에서 탈락하는 경우
    3. 부사격 조사 '으로'의 'ㅡ'가 조사와 결합된 체언 말음이 모음이거나 'ㄹ'일 때 탈락하는 경우

    이 중 2, 3번째 경우의 'ㅡ'를 매개 모음이라고 보는 경우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2. 이때 2번째 경우를 예로 들면, 'ㄹ'은 언어학적으로 그 울림이 모음의 성질과 비슷한 접근음으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어간 말음 'ㄹ' 뒤에는 매개 모음 'ㅡ'가 결합하지 않는다고도 볼 수 있고, 또 당연히 매개 모음은 자음 충돌 회피를 위한 것이기에 모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는 당연히 붙을 필요도 없겠습니다. 그러니 'ㅡ'탈락이 일어나는 경우에서 2번과 3번은 제외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대개 'ㅡ'로 시작되는 어미들은 'ㄹ'이나 모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 결합하지 않는다고 하니, 아마 표준국어대사전은 제 'ㅡ'와 관련된 2번째 이야기에 동의하는 바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제가 알고 있는 'ㅡ'탈락이 일어나는 환경이 잘못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답변]'으 탈락'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5. 2. 3.

안녕하십니까?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으 탈락'을 설명하고 있지 않고, 제시하신 내용들은 우리말샘을 참고해 보실 수 있습니다. 1번은 ‘아’나 ‘어’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어간 말의 ‘으’가 탈락하는 음운 현상인 '용언 어간 말 으 탈락'으로, 2번은 유음이나 모음으로 끝나는 용언 어간 뒤에서 어미 앞의 ‘으’가 탈락하는 음운 현상인 '어미의 두음 으 탈락'으로, 3번은 유음이나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어간 뒤에서 조사 ‘으로’의 ‘으’가 탈락하는 음운 현상인 '조사의 두음 으 탈락'으로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 점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비밀번호 확인

닫기

질문 작성 시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