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필수 성분인 보어가 생략될 수 있나요??

작성자 Eun 등록일 2025. 2. 5. 조회수 712

'밥이 아주 맛있게 되었다'라는 문장에서 서술어는 '되다'와 선어말 어미 '-었-'이 결합한 것이기 때문에 무조건 보어가 쓰여야 하지 않나요? 

그런데 이 문장에서는 보어가 없어 보이는데 필수 성분인 보어가 생략될 수도 있나요?




※이동통신 기기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답변]되다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5. 2. 6.

안녕하십니까?

'되다'에는 여러 쓰임이 있습니다. '밥이 아주 맛있게 되었다'의 '되다'는 '어떤 사물이 모습을 갖추어 만들어지다'를 의미하는 말이며, 이때에는 보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되다 [되다발음 듣기/뒈다발음 듣기] 되어[되어발음 듣기/뒈여발음 듣기](돼[돼ː발음 듣기]), 되니[되니발음 듣기/뒈니발음 듣기]
되다 「002」 「동사」 【…이】 【…으로】 다른 상태나 성질로 바뀌거나 변하다.
되다 「001」 「동사」 【…이】 새로운 신분이나 지위에 이르다.
되다 「003」 「동사」 【…이】 어떤 시기나 시점에 이르다.
되다 「004」 「동사」 【…이】 일정한 수량에 차거나 이르다.
되다 「005」 「동사」 【…이】 어떤 대상의 수량, 요금 따위가 얼마이거나 장소가 어디이다.
되다 「006」 「동사」 【…이】 사람으로서의 품격과 덕이 갖추어지다.
되다 「007」 「동사」 【…이】 어떠한 심리적 상태에 놓이다.
되다 「034」 「동사」 【…이】 어떤 행위나 일이 일어나거나 행하여지다.
되다 「023」 「동사」 【…이】 어떤 특별한 뜻을 가지는 상태에 놓이다.
되다 「035」 「동사」 【…이】 시간이나 공간 따위가 비거나 여유가 생기다.
되다 「008」 「동사」 【…이】 【…에게 …이】 【(…과) …이】 ((‘…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과 어떤 관계로 맺어져 있다.
되다 「009」 「동사」 【…으로】 어떤 재료나 성분으로 이루어지다.
되다 「010」 「동사」 【…으로】 어떤 형태나 구조로 이루어지다.
되다 「011」 「동사」 【…으로】 어떤 사람이나 조직의 이름으로 만들어지다.
되다 「036」 「동사」 어떤 때가 오다.
되다 「012」 「동사」 어떤 사물이 모습을 갖추어 만들어지다.
되다 「013」 「동사」 일이 이루어지다.
되다 「037」 「동사」 어떤 일이 가능하거나 받아들여지다.
되다 「015」 「동사」 ((주로 ‘다 되다’ 구성으로 쓰여))어떤 사물의 기능이 없어지거나 수명이 끝나다.
되다 「038」 「동사」 ((과거형으로만 쓰여))어떤 것이 충분하거나 더 필요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말. 주로 거절하는 뜻으로 쓴다.
되다 「017」 「동사」 【-도록】 【-기로】 어떤 일이 그렇게 정하여지다.
되다 「016」 「보조 동사」 ((동사나 형용사 뒤에서 ‘-게 되다’ 구성으로 쓰여))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이루어짐을 나타내는 말.
되다 「018」 「보조 동사」 ((‘이다’의 어간이나 용언 뒤에서 ‘-어야 되다’ 구성으로 쓰여))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내는 말.
되다 「019」 「보조 동사」 ((‘이다’의 어간이나 용언 뒤에서 ‘-으면 되다’ 구성으로 쓰여))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 괜찮거나 바람직함을 나타내는 말.
되다 「021」 「보조 동사」 ((‘이다’의 어간이나 용언 뒤에서 ‘-어도 되다’, ‘-어서는 안 되다’ 따위의 구성으로 쓰여))어떤 일이 가능하거나 허락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말.

비밀번호 확인

닫기

질문 작성 시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