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재질문] [재질문] '데'와 '대'
작성자
qkr
등록일
2025. 2. 27.
조회수
534
예시에서 나오는 '신랑이 어쩜 이렇게 잘생겼대?'와 '신랑이 어쩜 이렇게 잘생겼데?' 모두 맞춤법으로는 맞다고 알고 있습니다.근데, 아무리 '-대'의 (1)번을 읽고 비교해 봐도 전혀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어떤 차이가 있기에 구별해서 사용하나요?
==================================================================
질문자 : qkr 등록일시 : 2025. 2. 25.
말씀해주신대로 이곳저곳에서 찾아봐도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대'는 타인이 말한 일을 전달할 때 사용하고. '데'는 당사자가 직접 겪은 일을 말할 때 사용하면 된다고 이해했습니다.근데, '신랑이 어쩜 이렇게 잘생겼대?'는 아무리 봐도 타인이 말을 전달하는 투가 아니어서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
질문자 : qkr 등록일시 : 2025. 2. 21.
'레'와 '래''데'와 '대'위의 단어를 모두 종결문으로 쓰이는 것을 봤습니다. 각각 어느 때에 쓰이나요?
==================================================================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5. 2. 24.
안녕하십니까?'-레'는 '-ㄹ까'의 방언이고, '-래'는 '아니, 사람이 왜 저 모양이래?/그 애가 자기가 반장이래./내일도 또 오래.' 같은 경우에 쓰입니다. 그리고 '-데'는 '그이가 말을 아주 잘하데.', '-대'는 '왜 이렇게 일이 많대?/철수도 오겠대?'같이 말하는 경우에 쓰입니다. 국립국어원 누리집 사전에서 이들 쓰임을 더욱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5. 2. 27.
안녕하십니까?'-대' 쓰임은 아래와 같이 두 가지이고, 보이신 문장에 쓰인 '-대'는 (1)에 해당함을 알려 드립니다. (1) -대 「어미」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왜 이렇게 일이 많대?신랑이 어쩜 이렇게 잘생겼대?입춘이 지났는데 왜 이렇게 춥대?(2) -대 ‘-다고 해’가 줄어든 말.철수도 오겠대?고맙습니다.
==================================================================
질문자 : qkr 등록일시 : 2025. 2. 25.
말씀해주신대로 이곳저곳에서 찾아봐도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대'는 타인이 말한 일을 전달할 때 사용하고. '데'는 당사자가 직접 겪은 일을 말할 때 사용하면 된다고 이해했습니다.근데, '신랑이 어쩜 이렇게 잘생겼대?'는 아무리 봐도 타인이 말을 전달하는 투가 아니어서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
질문자 : qkr 등록일시 : 2025. 2. 21.
'레'와 '래''데'와 '대'위의 단어를 모두 종결문으로 쓰이는 것을 봤습니다. 각각 어느 때에 쓰이나요?
==================================================================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5. 2. 24.
안녕하십니까?'-레'는 '-ㄹ까'의 방언이고, '-래'는 '아니, 사람이 왜 저 모양이래?/그 애가 자기가 반장이래./내일도 또 오래.' 같은 경우에 쓰입니다. 그리고 '-데'는 '그이가 말을 아주 잘하데.', '-대'는 '왜 이렇게 일이 많대?/철수도 오겠대?'같이 말하는 경우에 쓰입니다. 국립국어원 누리집 사전에서 이들 쓰임을 더욱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5. 2. 27.
안녕하십니까?'-대' 쓰임은 아래와 같이 두 가지이고, 보이신 문장에 쓰인 '-대'는 (1)에 해당함을 알려 드립니다. (1) -대 「어미」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왜 이렇게 일이 많대?신랑이 어쩜 이렇게 잘생겼대?입춘이 지났는데 왜 이렇게 춥대?(2) -대 ‘-다고 해’가 줄어든 말.철수도 오겠대?고맙습니다.
[답변]-대/-데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5. 3. 1.
안녕하십니까?
문의하신 바와 관련하여 '-대'는 '-다니'로, '-데'는 '-더라'로 바꾸어 쓸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신랑이 어쩜 이렇게 잘생겼대?'와 같은 문장에서 '잘생겼대'는 '잘생겼다니'로 바꿀 수 있지만, '잘생겼더라'로는 바꿀 수가 없습니다. 만약 '신랑이 정말 잘생겼더라.' 뜻이라면 '신랑이 정말 잘생겼데.'처럼 '-데'를 써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이전글
심통 맞다 / 심통맞다
다음글
마침표의 사용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