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재질문] ‘굳이’ 구개음화
작성자
이현
등록일
2025. 4. 19.
조회수
744
답변 내용 잘 받았습니다. 하지만 저는 구개음화 현상에 대해 궁금한 것이 아니라 구개음화가 일어날때 한번에 바로 ㅈ,ㅊ으로 변하는지, 아니면 중간에 연음 과정을 거치는지가 궁금하여 질문드린 것이었습니다. 구개음화가 일어나는 단어에서 중간에 연음을 거치는지 아닌지는 사람들마다 의견이 다르기에 국립국어원에서 단정짓기는 어려운 것인가요?
==================================================================
질문자 : 이현 등록일시 : 2025. 4. 16.
‘굳이’의 음운변동이 구개음화잖아요, 그런데 그 과정을 굳이->구디(연음)->구지(구개음화) 로 보는 사람도 있고, 굳이->구지(구개음화) 로 보는 사람도 있는데 이러한 구개음화에서는 연음 과정을 포함해서 봐야하나요? 아니면 구개음화가 그냥 한번에 일어난 것으로 봐야 하나요?
==================================================================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5. 4. 18.
안녕하십니까?온라인 가나다에서는 '어문 규범-표준 발음법'을 바탕으로 하여 정보를 드리며, '표준 발음법' 제17항에서 '구개음화'를 아래와 같이 기술하였으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제17항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ㅈ, ㅊ]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곧이듣다[고지듣따]굳이[구지]미닫이[미ː다지]땀받이[땀바지]밭이[바치]벼훑이[벼훌치]해설: 이 조항은 구개음화 현상에 대해 규정하였다. ‘ㄷ, ㅌ(ㄾ)’으로 끝나는 말 뒤에 ‘ㅣ’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결합할 때 ‘ㄷ, ㅌ’이 [ㅈ, ㅊ]으로 발음된다. 이 현상은 치조음인 ‘ㄷ, ㅌ’이 모음 ‘ㅣ’의 조음 위치에 가까워져 경구개음 ‘ㅈ, ㅊ’으로 바뀐 것이기 때문에 자음의 조음 위치가 모음의 조음 위치에 동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현상은 주격 조사 ‘이’ 앞에서도 일어나고 접미사 ‘-이’ 앞에서도 일어난다. 고맙습니다.
※이동통신 기기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
질문자 : 이현 등록일시 : 2025. 4. 16.
‘굳이’의 음운변동이 구개음화잖아요, 그런데 그 과정을 굳이->구디(연음)->구지(구개음화) 로 보는 사람도 있고, 굳이->구지(구개음화) 로 보는 사람도 있는데 이러한 구개음화에서는 연음 과정을 포함해서 봐야하나요? 아니면 구개음화가 그냥 한번에 일어난 것으로 봐야 하나요?
==================================================================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5. 4. 18.
안녕하십니까?온라인 가나다에서는 '어문 규범-표준 발음법'을 바탕으로 하여 정보를 드리며, '표준 발음법' 제17항에서 '구개음화'를 아래와 같이 기술하였으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제17항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ㅈ, ㅊ]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곧이듣다[고지듣따]굳이[구지]미닫이[미ː다지]땀받이[땀바지]밭이[바치]벼훑이[벼훌치]해설: 이 조항은 구개음화 현상에 대해 규정하였다. ‘ㄷ, ㅌ(ㄾ)’으로 끝나는 말 뒤에 ‘ㅣ’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결합할 때 ‘ㄷ, ㅌ’이 [ㅈ, ㅊ]으로 발음된다. 이 현상은 치조음인 ‘ㄷ, ㅌ’이 모음 ‘ㅣ’의 조음 위치에 가까워져 경구개음 ‘ㅈ, ㅊ’으로 바뀐 것이기 때문에 자음의 조음 위치가 모음의 조음 위치에 동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현상은 주격 조사 ‘이’ 앞에서도 일어나고 접미사 ‘-이’ 앞에서도 일어난다. 고맙습니다.
※이동통신 기기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답변]구개음화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5. 4. 21.
안녕하십니까?
이전 답변에서 온라인 가나다 답변 기준을 알려 드렸으며, 다시 한번 '표준 발음법' 제17항 기술을 유의하여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ㅈ, ㅊ]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고맙습니다.
이전글
구하다 복합어
다음글
선어말어미와 종말어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