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사업 소개

국민의 표준 언어생활 지원과 한국어 자료 집대성 및 국어 정보 서비스 강화

표준국어대사전 등 국어 정보 통합 검색 시스템 운영

  • 어문 규정, 외래어 표기 용례, 사전 등 각종 어휘 자료 및 국어 관련 자료 관리, 검색 서비스
  • 표준국어대사전 서비스의 접근성 강화 및 사용자 편의 제고
  • 21세기 세종계획 등 국어 정보 처리 성과물의 통합 유통, 관리 체계 마련
  • 관련어 중심의 한국어 어휘 의미망 구축 및 연계 서비스 기반 마련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편찬 추진

  • 사전 편찬 체계 구축 중장기 종합 계획 수립

국어 문화유산 현대화·디지털화

  • 훈민정음 해례본 번역판 출간(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등)
  • 한글 고전 자료 정리 및 통합 자료 뭉치(데이터베이스) 구축
  • 방언 자료 등 한국어 음성 자료 디지털화

국어 정보지 발간

  • 국어에 관한 다양한 교양 자료를 제공하는 계간지 ≪새국어생활≫ 발간
  • 온라인 소식지 ‘쉼표, 마침표.’ 제작 발송
  • 국어 분야의 연구 성과 및 현황과 관련 활동을 정리·소개하는 ≪국어 연감≫ 발간

미래를 향한 국어 정책의 기초 국어 실태 조사·연구

어문 규범을 현실화하여 언어생활 편의 증진

  • 어문 규정을 효율적으로 관리·보급하여 국민 의사소통 효용 증대
    • 로마자표기와 외래어표기 용례 검색 기능 강화로 국민 편의성 제고
    • 외래어 표기 결정 상시 체제 운영
    • 신규 외래어 표기법 확대 및 관련 용례집 발간
  • 어휘 사용 실태를 파악해 국민의 언어생활 불편 해소
    • 사용 빈도 높은 비표준어 실태 조사

국어 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연구

  • 소멸 위기의 지역어 및 민족 생활어 조사
    • 국내 9권역 및 국외 한민족 이주 지역의 지역어 조사
    • 국내 10개 지역의 기층 생활어 및 직업 생활어 조사

국어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조사

  • 교사의 국어 능력 실태 조사
  • 지식 정보화 사회에 대비, 직업군별 국어 능력 진단 및 맞춤형 정책 수립

국민의 언어생활과 직결된 공공 언어 지원 체계 구축

언어 소외 계층을 위한 언어 복지 강화

  • 표준 수화 확립 및 보급, 표준수화 학습 방송, 점자 포털사이트의 콘텐츠 보완
  • 북한 이탈 주민의 한국어 발음 교재 및 학습 시디 개발
  • 차별적 언어문화 관행 해소를 위한 연구 · 홍보

인터넷 및 방송 언어의 품격 향상

  • 방송에서의 외래어 · 외국어 사용 지침 제작 · 보급
  • 방송 언어 발전을 위한 방송사 참여 공동 연구
  • 올바른 인터넷 언어 사용을 위한 교육용 전자책(e-book) 발간

공공 기관 언어 품질 향상 지원

  • 공공 기관 서식 · 문서의 국어 사용 실태 분석
  • 전문 용어의 표준화 및 대국민 소통 지원
    • 학회, 정부 기관 등 대내외 전문용어 정비 지원 및 지침 발간
  • 초중고 교과서 언어의 표기 · 표현 전문 감수
  • 표준 화법 개선 연구

국민의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국어문화학교 운영

국어 전문 교육 과정

  • 국어 전반에 관한 실질적·체계적 교육 제공
  • 개설반
    • 일반인·공무원반(5일간, 35시간)
    • 교사직(직무 연수, 5일간, 35시간)
  • 개설 과목
    • 어문 규범: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등
    • 글쓰기: 우리말 다듬기, 공문서 바로 쓰기, 생활 글쓰기, 보고서 작성법, 국어 논술의 이해(교사반) 등
    • 말을 바르게 하기: 협동적 의사소통,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이해와 훈련, 청소년과 대화하는 법(교사반) 등
    • 언어와 문화: 한글의 창제 원리와 우수성, 각종 특강
    • 기타: 시청각 학습, 분임 토의 등

찾아가는 국어문화학교

  • 전국 어느 기관 · 단체에서나 신청 가능(수강 인원 30명 이상)
  • 날짜, 시간, 과목 등을 정하여 신청하면 교재와 강의 무료 제공
  • 신청 방법
    • 국립국어원 누리집 - 국어문화학교 - 찾아가는 국어문화학교 신청

국어문화학교 특별 과정

  • 언론 · 출판인 대상 교정 · 교열 과정, 국어 책임관 공공 언어 정책 과정 등 대상별 · 내용별 특별 과정 운영

국내외 한국어 보급 한국어 교재 개발 및 전문가 양성의 요람

국내외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과 보급

  • 국내외 한국어 학습 수요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 교재 개발
  • 국내외 한국어 교원을 위한 교육 지침서 개발
  • 여성 결혼 이민자와 이주 노동자 등을 위한 다양한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고, 온라인 교육 강좌와 함께 방송 프로그램 등을 제작, 보급
  •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방문 학습지, 시청각 보조 자료, 놀이 교재 등을 개발
  • 다문화 가정 ‘한국어 방문 지도사’를 위한 교사용 지침서와 언어권별 해설서 등을 개발

한국어 교육 전문가 양성과 교육 연수 과정의 표준화

  • 세종학당 등 국외의 한국어 교원을 대상으로 전문 교육 실시(초청 연수, 전문가 파견)
  • 한국어 교원과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표준화된 교육 연수 개발

‘한국어교원자격증’ 발급

  • 국어기본법의 규정에 따라 ‘한국어교원자격’을 심사하고 자격증 발급
    ※ 매년 상 · 하반기 2회 심사 신청을 받아 심사 후에 한국어교원자격증(1 · 2 · 3급) 부여

기타 한국어 국내외 보급을 활성화하는 사업의 발굴과 지원

기타 안내

국민의 올바른 언어생활을 위한 길잡이 국립국어원, 여러분 곁에 있습니다.

    기타안내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샘, 한국수어 사전, 한국어기초사전, 국립국어원 한국어-외국어 학습사전, 언어정보나눔터, 가나다전화, 계간지-새국어생활, 온라인 소식지 - 쉼표, 마침표, 공공언어 지원,국어문화학교, 한국어 교원자격 심사, 한국교수학습샘터)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ict.korean.go.kr/
    우리말샘 http://opendict.korean.go.kr
    한국수어 사전 http://sldict.korean.go.kr
    한국어기초사전 http://krdict.korean.go.kr
    국립국어원 한국어-외국어 학습사전
    가나다전화 어문 규정을 비롯한 국어 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
    온라인가나다 http://korean.go.kr/ganada
    근무시간: 평일 9~18시 /전화번호:1599-9979
    계간지 ≪새국어생활≫ 국립국어원 누리집 http://www.korean.go.kr
    온라인 소식지 ‘쉼표, 마침표.’ ‘쉼표, 마침표.’ 보기 http://www.korean.go.kr
    공공언어 지원 http://www.korean.go.kr/publang
    국어문화학교 http://edu.korean.go.kr
    전화: 02-2669-9752, 9729, 9662 / 전송(FAX): 02-2669-9747, 9787
    한국어교원자격심사 http://kteacher.korean.go.kr
    전화: 02-2669-9671~4 / 전송(FAX): 02-2669-9747
    한국어교수학습샘터 http://kcenter.korean.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