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자 규정과 해설
점자규정에 대해 알아보세요.
한글 점자 규정
현재의 한글 점자는 제생원 맹아부 훈도(현재의 국립서울맹학교 교사)였던 송암 박두성 선생이 7명의 시각장애인 제자들과 함께 한글 점자를 창안하여 1926년 11월 4일 “훈맹정음”이란 이름으로 반포하면서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1947년 서울맹학교 교사 이종덕·전태환이 한글 맞춤법에 맞게 한글 점자를 정비하였고, 1963년 4월 8일에 서울맹학교 교사 이성대가 고문 점자를 추가하여 발표하였다. 그리고 1983년 단국대학교 김승국 교수가 문교부의 정책 연구 과제를 수행하여 『한국 점자 통일안』을 완성하였다. 1997년 문화체육부는 한국표준점자 제정 자문위원회를 조직하여 한국 점자를 정비하고 그해 12월 17일 정부 고시를 통해 『한국 점자 규정』을 발표하였다. 이 고시로 비로소 점자가 국가 공인 문자로서 효력을 갖게 되었다. 2006년 문화관광부는 기존의 점자 규정을 일부 수정·보완하여 『개정 한국 점자 규정』을 고시하였다.
이러한 여러 차례의 개정과 보완에도 불구하고 한국 점자 규정은 묵자(墨字, 먹으로 쓴 글) 출판물을 점자로 정확하게 옮기는 데 한계가 있었다. 대구대학교의 조성재 교수는 국립국어원의 연구 과제인 「한국 점자 규정 개정안 마련을 위한 실증 연구」(2012)와 「한국 점자 규정 2차 개정(안) 검토 보고서」(2014)에서 ① 다양한 형태의 활자 문서 제작에 필요한 편집 규정의 부재, ② 일반 묵자 출판물에서 다양하게 표기되는 기호에 대한 명확한 규정의 부재, ③ 동일한 점형의 중복 사용 등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좀 더 편리하게 점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을 개정하고자 2015년 8월 국립국어원 소속으로 점자규범정비위원회를 신설했다. 그리고 전체 회의 2회와 한글 분과 위원회 3회를 거쳐 ‘개정 한국 점자 규정(안)’을 마련하고, 2016년 2월 3일 공청회를 개최하였다. 공청회에서 나온 각계의 의견을 반영하여 점자규범정비위원회의 결의와 국어심의회의 승인을 받아 2017년 3월 28일 마침내 『개정 한국 점자 규정』(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5호)이 고시되었다.
수학 점자 규정
수학 점자 규정은 1967년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교과서를 점자로 번역한 것을 계기로 전국 맹학교 대표들이 모여 한문제 교사(서울맹학교)가 이전부터 수정·보완해 온 수학 점자 기호를 채택하면서 수학 점자가 공식화되었다. 1979년에는 문교부 주최 전국 맹학교 고등부 대표자 회의에서 대학 상비 고사 문제를 점자로 번역하고자 부족한 수학 점자 기호 30개를 만들어 통일안을 확정하였다. 그리고 1983년 단국대학교 김승국 교수가 문교부의 정책 연구 과제를 수행하여 『한국 점자 통일안』을 완성하였다. 1997년 문화체육부는 한국표준점자 제정 자문위원회를 조직하여 한국 점자를 정비하고 그해 12월 17일 정부 고시를 통해 『한국 점자 규정』을 발표하였다. 이 규정에서는 대학 수준의 수학 기호를 표기할 수 있도록 범위를 넓혀 수학 점자를 정비하였다. 2006년 문화관광부는 기존의 점자 규정을 일부 수정·보완하여 점자 규정을 개정 고시하였고, 이후 2017년 3월 28일 『개정 한국 점자 규정』(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5호)이 고시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과학 점자 규정
우리나라 과학 점자 연구의 시작은 1967년 7월 26일~28일 서울맹학교가 주축이 되어 전국 맹학교 대표자들이 모여 ‘한글점자연구위원회’를 발족하면서부터이다. 이 위원회에서 한문제 교사가 수정·보완한 수학 점자를 채택하였고 한글 점자 약자와 문장 부호 및 과학 기호를 제자하였다.
이후 김천년 교사는 광복 이후에 산발적으로 제자하여 사용해 오던 과학 점자 기호를 체계화하여 1973년 12월 24일에 ‘점자 이과 기호’라는 이름으로 과학 점자 표기법을 발표하여 과학 점자 기호 보급의 길을 열었으며, 1979년 10월 25일에는 맹교육에 대한 심포지엄에서 이과 기호 점자를 발표하였다.
한편 1979년 9월 18일 문교부는 대학 예비고사 문제지 점역을 위해 전국 맹학교 고등부 대표자 회의를 서울맹학교에서 개최하였고 이 회의에서 그동안 사용해 오던 과학 점자 기호를 재검토하여 통일안으로 확정하였다.
「한국점자통일안」이 1983년 3월 20일 발표되면서 과학 점자는 이 시점부터 교육과정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연구되었고, 이후 한국 점자 규정 제정 및 점자규범정비위원회 발족 등으로 한국 점자 규정에 포함하여 연구되고 있다.
서양 음악 점자 규정
서양 음악 점자는 프랑스 왕립시각장애학교(Institution Royale des Jeunes Aveugles)의 교사인 루이 브라유(Louis Braille)가 발명한 이후 거의 2세기가 흐르는 동안, 여러 차례의 국제회의(1888년 쾰른, 1929년 파리, 1954년 파리, 1992년 스위스 등)를 통해 수정, 보완되면서 발전해 왔다. 정해진 공간 내에서 수직적, 수평적 요소를 모두 활용하여 표기하는 오선보와는 달리 한정된 점형을 조합한 기호 즉, 대체로 수평적 요소를 사용하는 음악 점자는 오선보상의 음악적 지시들을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고안하였다. 길표, 음정 기호, 성부 나눔 표, 반복 기호, 집합 음표 표기법, 생략 표기법 등이 이 같은 연구와 노력의 결과이며, 현재 사용하는 음악 점자는 작곡가 개인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특수한 현대 악보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오선보를 점자로 적을 수 있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컴퓨터 점자 규정
1993년에 대구대학교 임안수 교수를 중심으로 「한국점자위원회」를 발족하면서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점자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는데, 한국점자위원회에서는 ‘한글’ 분과를 비롯하여 ‘수학’, ‘과학’, ‘국악’, ‘서양 음악’, ‘컴퓨터’ 분과 등 여러 개의 소위원회를 두고 해당 분야의 점자 연구를 수행하여 1994년 11월 4일(제68주년 점자 기념일)에 『개정 한국 점자 통일안』을 발표하였다. 『개정 한국 점자 통일안』에서 주목할 사항은 컴퓨터 점자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는 점이다. 이후 수차례 개정을 통해 2017년 3월 28일 『개정 한국 점자 규정』(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5호)의 이름으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인터넷이 보편화되고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시각장애인 프로그래머가 탄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터넷 URL, 이메일 주소를 비롯하여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점역하기 위한 점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글과 영문 점자를 사용하여 컴퓨터 관련 내용을 점역하자니 점자 상의 혼동이 너무 심하였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등에서도 이미 컴퓨터 점자를 별도로 사용하고 있었고, 우리나라도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견에 따라 점자 아스키(Braille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Braille ASCII)코드 및 바나(BANA; Braille Authority of North America, 북미 점자 위원회) 코드의 규정을 중심으로 일반 점자와 혼동 없이 컴퓨터 점자를 점역하기 위하여 컴퓨터 점자를 도입하게 되었다.
컴퓨터 점자 규정 해설서 내려받기
한국 음악 점자 규정
오늘날 민족 문화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이 재인식되고 있고, 국악 발전을 위한 노력이 다방면으로 시도되고 있는 상황에서 1994년 시각 장애 학생의 국악 교육을 위하여 한국점자연구위원회에서 ‘개정 한국 점자 통일안’을 만들면서 한국 음악 점자를 최초로 제정하였고, 드디어 맹학교 음악 교과서의 국악 단원을 한국 음악 점자로 점역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을 토대로 세 차례의 개정을 통해 수정·보완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2017 『개정 한국 점자 규정』에 수록된 한국 음악 점자는 지난 2013년 8월부터 2014년 1월까지 국립국어원에서 진행한 「한국 음악 점자 제·개정을 위한 기초 연구」를 통하여 연구, 보완된 내용이다. 기존 정간보 등 국악 일반에서는 현행을 유지하면서 학습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관련 예시를 보강하였다. 주법에 관한 악기별 기호에서는 해금 기호 신설, 거문고 기호 확충, 관악기 기호 확충, 가야금, 장구 등 일부 기호 재편 등 그 구성 체계와 기호를 대폭 제·개정하여 전체 공통 기호 15개, 현악기 공통 기호 6개, 거문고 기호 18개, 가야금 기호 20개, 해금 기호 29개, 관악기 공통 12개, 관악기 공통 장식음 13개, 대금·단소·소금 전용 기호 6개, 피리 기호 6개, 장구 기호 8개, 북 기호 5개, 꽹과리 기호 9개, 징 기호 2개 등 149개를 개편하여 수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