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12월:『문자열 검색·사전 검색 프로그램의 연구와 개발』 발간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참조
1993년 12월:『컴퓨터를 이용한 국어 자료 분석에 대한 기초적 연구』 발간
이 보고서는 현대 국어 자료를 컴퓨터로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정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전의 편찬에 직접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조사, 어미 목록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울산대 한영균 교수를 책임 연구원으로 하여 용역으로 진행된 사업의 결과 보고서이다. 이 보고서는 크게 세 가지를 그 주된 내용으로 하였다.
첫째, 현대 국어 자료를 기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일차적 작업인 어절의 분석에서 제기되는 문제에 대해 검토하였다.
둘째, 조사·어미의 결합형 목록을 기존 국어 사전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문어 자료에서 뽑고 용례를 확인하였다. 기존 국어 사전의 검토는 금성판 『국어 대사전』과 북한의 『조선말 대사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문어 자료는 초등학교 교과서와 신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셋째, 조사·어미와의 결합에서 나타나는 어간 교체를 검토하고 교체 유형별 어간 목록을 제시하였다.
1993년 9월~1994년 12월: '사전 편찬 지원 시스템' 개발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참조
1998년 4월 ~ : '21세기 세종계획' 지원
연구원은 문화관광부의 국어 정보화 중장기 사업인 21세기 세종계획의 주관 기관으로 사업 계획 및 사업 방향의 검토를 담당해 왔다. 21세기 세종계획은 국어 기초 자료 구축, 한민족 언어 정보화, 전자사전 개발 등 모두 3분과로 나뉘어 주요 사업을 벌이며 그 밖에 비표준 문자 등록 센터 운영, 전문용어 센터 운영, 글꼴 개발 보급 센터 운영, 국어정보화 인력 양성 및 교재 개발 등의 사업이 국고 보조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1998년 7월: '사전 원고 변환 프로그램의 연구와 개발'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참조
1998년 7월: '문자열 검색·사전 검색 프로그램의 연구와 개발'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참조
1998년 11월~1999년 3월: 정보화 근로 사업 '한글 맞춤법 관련 DB 구축' 추진
연구원은 1998년 10월에 정보통신부에서 공모한 정보화 근로 사업에 '한글 맞춤법 관련 DB 구축'이라는 제목으로 과제 신청서를 제출하였는데 이것이 1998년도 정보화 근로 사업의 과제로 채택되어 1998년 11월 30일부터 4개월간 어문 규범에 관련된 기초 DB를 다음과 같이 구축하였다.
사업명 | 한글 맞춤법 관련 DB 구축 |
---|---|
지원 예산 | 3억 원 |
사업 기간 | 1998년 11월 30일 ~ 1999년 3월 30일 |
사업 내용 |
|
사업 추진 체계 |
|
사업을 담당할 주관 사업자는 공개 입찰을 통하여 선정하였고 DB 입력 및 교정은 실업 인력을 적극 활용하여 국립국어연구원과 영등포에 있는 임대 작업장에서 진행하였다.
1999년 3월: 국립국어연구원 홈페이지 개설 (http://www.sejong.or.kr)
국어정보화 중장기 사업인 21세기 세종계획의 홈페이지(http://www.sejong.or.kr)와 함께 국립국어연구원의 홈페이지를 개설하였다. 세종계획 홈페이지와 함께 개설된 홈페이지는 연구원이 독자적인 주소(http://www.korean.go.kr)를 확보하여 본격적인 검색 서비스를 시작한 2000년 8월 21일 이전까지 연구원의 홈페이지로 사용되었다. 홈페이지에는 연구원의 소개와 사업 내용, 민원 게시판, 자료실 등이 마련되어 있었고 매월 발행되는 새국어소식의 전문이 수록되어 있었다. 또한 국어 생활 및 국어정보화와 관련되는 유용한 사이트 목록을 국내, 국외로 나누어 기관, 연구소, 개인별로 제시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었다.
1999년 7월: 정보화 지원 사업 '국어 정보 보급 관리 시스템 개발' 추진
연구원은 1999년 6월에 정보통신부에서 공모한 정보화 지원 사업에 '국어 정보 보급 관리 시스템 개발'이라는 제목으로 과제 신청서를 제출하였는데 이것이 1999년도 정보화 지원 사업 과제로 채택되어 1999년 7월 6일부터 6개월간 어문규범에 관련된 기초 DB를 다양하게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사업명 | 국어 정보 보급 관리 시스템 개발 |
---|---|
지원 예산 | 4억 원 |
사업 기간 | 1999년 7월 6일 ~ 1999년 12월 31일 |
사업 내용 |
|
사업 추진 체계 |
|
사업을 담당할 주관 사업자는 공개 입찰을 통하여 (주)대우정보시스템((주)MA Technology와 컨소시엄 체결)으로 선정하였다. 시스템의 개발 방향과 국어 자료에 관한 정리, 가공, 검토 작업은 연구원에서 진행하였고 프로그램 개발은 (주)대우정보시스템과 (주)MA Technology에서 총 8명의 인력을 파견하여 국립국어연구원 회의실에서 진행하였다.
1999년 8월: 국립국어연구원 홈페이지 검색 서비스 시작 (http://www.korean.go.kr)
연구원은 2000년 8월 21일부터 공식적인 도메인 이름(korean.go.kr)을 사용하여 홈페이지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그동안 http://www.sejong.or.kr을 통하여 공개되었던 연구원 홈페이지는 홈페이지 내용에 대한 검색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연구원에서는 새롭게 개발한 '국어 정보 보급 관리 시스템'을 새로운 홈페이지와 연결시켜 새 주소(http://www.korean.go.kr)에서 홈페이지 검색 서비스를 시작한 것이다.
'국어 정보 보급 관리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은 인터넷에서 옛글자와 확장 한자를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대부분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지원하는 한글과 한자는 KSC-5601 규격을 따르고 있어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옛글자나 확장 한자를 입력하고 검색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러나 다양한 국어 연구 자료를 인터넷으로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자들을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
연구원에서는 이의 해결을 위하여 유니코드 체계를 채택하여 홈페이지 서비스를 하고 있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2000과 한글 워디안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니코드 확장 규격을 채택하여 인터넷에서도 문서 편집기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문자를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게 하였다. 유니코드 확장 규격을 지원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2000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도 곧바로 '국어 정보 보급 관리 시스템'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렇지 못한 사용자는 홈페이지에서 확장 프로그램을 내려받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2000년 8월 21일 이전까지 "21세기 세종계획"의 홈페이지와 함께 사용하던 홈페이지(http://www.sejong.or.kr)는 "21세기 세종계획"의 독립된 홈페이지로 남겨 두었다. 그리고 연구원 홈페이지는 검색 시스템과 함께 새 주소 (http://www.korean.go.kr)에서 홈페이지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2000년 8월: '국어 정보 보급 관리 시스템' 시연회 개최
연구원은 2000년 8월 18일(금) 15시부터 17시까지 국립국어연구원 강당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옛글자를 포함한 다양한 국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국어 정보 보급 관리 시스템'의 시연회를 개최하였다. 시연회에서는 '국어 정보 보급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검색할 수 있는 국어 정보의 내용과 문화관광부와 연구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어정보화 사업의 내용이 소개되었다.
이날 개최된 시연회는 지난 1999년 7월부터 12월까지 연구원에서 개발한 '국어 정보 보급 관리 시스템'을 새로운 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orean.go.kr)를 통하여 일반에 공개하기 위한 행사였다. '국어 정보 보급 관리 시스템'은 개발이 끝난 후 7개월 동안의 시험과 준비 기간을 거쳐 이 날 시연회를 개최하게 되었고 시연회가 끝난 뒤 8월 21일부터 국립국어연구원의 변경된 홈페이지(http://www.korean.go.kr)를 통하여 외부 서비스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