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립국어원 20년사

성과

국어사전 편찬표준국어대사전 웹 사전

사전 발간 직후인 2000년부터 “표준국어대사전”의 내용에 대한 질의에 답하는 수준에서 수정 작업이 이루어지기 시작했지만 본격적인 사전 개정 작업과는 거리가 있었다. 본격적인 사전의 개정 작업은 2003년부터 시작되었다. 2004년 6월에 “표준국어대사전” 정오표(正誤表)를 제작, 배포하였으며 2006년에는 웹 사전 형태의 “표준국어대사전” 개정판을 기획하였다.
개정판을 종이 사전이 아니라 웹 사전의 형태로 제작하게 된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었다. 가장 큰 요인은 종이 사전의 경우, 재판 인쇄를 하지 않는 한 잘못된 내용을 수정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이었다.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정보 통신의 발달에 따른 정보의 변화 및 생성을 종이 사전에 반영하기란 어려운 일이었다. 그뿐만 아니라, 기존에 종이 형태로 발간된 “표준국어대사전”은 총 3권의 방대한 두께와 무게, 유상 판매라는 점 때문에 일반인들이 구입하여 이용하기가 어렵다는 점도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웹 사전’이었다. 이미 “표준국어대사전”은 2002년부터 온라인 사전을 제공하고 있었지만, 이는 종이 사전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에 불과한 것이어서 다양한 검색 기능 등을 포함한 웹 사전의 특징을 충분히 구현한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2006년에 사전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웹 사전의 형식으로 새롭게 편찬하기 시작하였다. 웹 사전은 종이 사전에서는 불가능했던 자료의 추가와 갱신이 가능하고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전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함께 종이 사전은 더 이상 출간하지 않게 되었다.
2008년 10월, 한글날에 맞춰 “표준국어대사전” 개정판 웹 사전이 개통되었다. 내용 면에서는 1999년 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누락된 표제어를 보충하고, 그동안 언어 현실에서 널리 정착된 새로운 어휘를 반영하였으며, 외래어의 한글 표기 변경과 관련된 규범을 수정하는 등 개정 사항이 반영되었다. 또한, 뜻풀이와 용례, 북한어와 관련한 오류의 시정 및 변경 사항 또한 반영되었다. 표제어의 개수도 50여만 항목에서 약간 늘어나 51만여 항목이 선정되었다.

[표 3-2] 품사별 표제어 개수
[표 3-2] 품사별 표제어 개수
품사 1999 2008
명사 335,057 331,023
의존 명사 1,061 1,072
대명사 463 474
수사 277 279
동사 68,394 68,757
보조 동사 48 48
형용사 17,361 17,447
보조 형용사 29 29
부사 17,895 18,033
관형사 1,685 1,732
조사 357 360
감탄사 812 874
어미 2,526 2,517
접사 656 674
어근 7,346 7,280
품사 없음 58,509 70,716
합계 512,476 521,315
품사 통용 3,400 3,400
509,076 510,268
[표 3-3] 관용구ㆍ속담 개수
[표 3-3] 관용구ㆍ속담 개수
품사 1999 2008
관용구 4,574 4,582
속담 9,415 9,603
13,989 14,185
[표 3-4] 표준국어대사전(1999년)과 표준국어대사전 웹사전(2008년)의 전문 분야별 표제어 개수 비교
[표 3-4] 표준국어대사전(1999년)과 표준국어대사전 웹사전(2008년)의 전문 분야별 표제어 개수 비교
분야 1999 2008 분야 1999 2008 분야 1999 2008
가톨릭 1,448 1,470 법률 9,350 9,505 전기 3,003 3,177
건설 6,215 6,387 불교 10,029 10,097 정치 2,119 2,154
경제 8,542 8,689 사회 2,329 2,418 종교 1,012 1,028
고적 2,398 2,415 생물 4,243 3,382 지리 5,961 6,048
공업 3,695 3,897 수공 2,275 2,430 천문 2,095 2,104
광업 3,338 3,268 수산 910 945 철학 2,065 2,074
교육 1,479 1,533 수학 4,127 4,084 출판 1,464 1,488
교통 1,552 1,592 식물 13,127 11,093 컴퓨터 1,500 1,566
군사 4,979 5,037 심리 1,613 1,607 통신 1,077 1,108
기계 2,369 2,492 약학 1,487 1,495 한의 5,077 5,161
기독교 1,173 1,189 언론 558 555 항공 891 920
논리 718 724 언어 4,208 4,254 해양 1,132 1,179
농업 4,732 4,914 역사 20,858 20,990 화학 8,865 10,029
동물 11,695 11,189 연영 1,731 1,779 인명 10,327 10,322
문학 3,788 3,859 예술 1,295 1,338 지명 6,996 7,014
물리 7,905 7,792 운동 4,962 5,057 책명 2,051 2,040
미술 1,516 1,544 음악 6,939 6,915 고유명사 498 511
민속 4,912 5,127 의학 10,501 10,511 합계 229,129 229,514
표준국어대사전 웹사전 개정판(2008년)
[그림 3-3] 표준국어대사전 웹사전 개정판(2008년)
표준국어대사전 개정판 웹 사전 검색 기능
[그림 3-4] 표준국어대사전 개정판 웹 사전 검색 기능

“표준국어대사전” 웹 사전의 가장 큰 특징은 강력한 검색 기능을 구현하는 명실상부한 전자사전이라는 데 있다. ‘찾기, 따로 보기, 자세히 찾기’ 등 다양한 검색 방식을 설정했고, ‘지정 검색, 다중 검색 기능’과 같이 정교한 검색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단순히 단어 뜻만 찾는 식의 단조로운 사전 활용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활용이 가능한 차원 높은 단계의 지식 습득이 가능하게 되었다. “표준국어대사전” 초판이 ‘규범’의 기준을 확립한 사전이었다고 한다면 “표준국어대사전” 개정판은 거기에 덧붙여 본격적인 전자사전의 시대를 연 사전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새로 개발된 웹 사전(2008년)과 기존 “표준국어대사전”의 온라인 사전(1999년)의 기능을 비교해 볼 때 그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난다.

[표 3-5] 온라인 사전(2002년)과 웹사전(2008년)의 기능 비교
[표 3-5] 온라인 사전(2002년)과 웹사전(2008년)의 기능 비교
대항목 소항목 2002년 2008년
검색 기능 표제어 찾기
아무개 문자(?, *) 활용 찾기 ×
따로 보기 (관용구, 속담, 전문어, 북한어, 방언, 옛말, 고유어) ×
여러 겹 찾기 (검색 조건 중복 적용) ×
품사별 찾기 ×
자모별 찾기 ×
범위로 찾기 ×
자소로 찾기 ×
사용자 환경 일러두기
옛 한글 입력

“표준국어대사전”이 전자사전으로 새롭게 탄생함으로써 현재의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기기에서도 사전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한 걸음 더 나아가 한국어의 지식 정보를 망라하는 “개방형 한국어지식대사전”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