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계간지 "새국어생활"
“새국어생활”은 국립국어연구원에서 1991년 3월에 창간하여 2010년 현재까지 꾸준히 발행하고 있는 계간 교양지이다. 국립국어연구원은 국어연구소로부터 확대 개편되어 새롭게 정립되면서 합리적인 어문정책의 수립을 뒷받침할 사업의 일환으로서 기존의 “국어생활(1984년 10월~1990년 가을)”을 바탕으로 “새국어생활”을 발행했다. 국어와 관련한 여러 정보와 전문가들의 연구 성과를 독자에게 제공하는 것과 국립국어원의 활동을 국민에게 널리 알리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국립국어연구원 안병희 초대 원장은 간행사에서 “합리적인 어문정책은 우리의 말과 글에 관한 과학적인 조사와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라고 “새국어생활”의 창간 의의를 밝혔다. 그리하여 “새국어생활” 창간호는 ‘국립국어연구원이 세워야 할 좌표’에 대해 논한 ‘좌담’을 비롯하여, 한국 성씨의 유래 및 종류, 우리말 이름의 로마자 표기, 성명학 등을 논한 특집기사 ‘한국인의 이름’ 등으로 구성되었다.
“새국어생활”은 특집 기사와 ‘이곳 이 사람’, ‘그분을 그리며’, ‘어원 탐구’, ‘우리 시의 향기’, ‘국어 산책’, ‘세계의 언어 정책’, ‘국립국어원 소식’의 고정란으로 구성되고 있다. 그동안 고정적으로 연재해 오던 ‘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는 2010년에 들어서 ‘세계의 언어 정책’으로 내용을 바꾸었다. “새국어생활”의 전문은 국립국어원 누리집에서 제공하고 있다.
호수 | 학술 | 교양 | 홍보 |
---|---|---|---|
창간호 ~ 2004년 제14권 제4호 |
특집 |
|
국어원 소식 |
2005년 제15권 제1호 ~ 2007년 제17권 제2호 |
특집 |
|
국어원 소식 |
2007년 제17권 제3호 ~ 2010년 제20권 제1호 |
특집 |
|
국어원 소식 |
2010년 제20권 제2호 ~ 현재 |
특집 |
|
국어원 소식 |
‘고향 말을 찾아서’(15-2 ~ 17-2), ‘알면 쉬워지는 우리말’(~ 17-1), ‘한글과 현대 생활’(17-3, 17-4) 등은 한시적으로 운영
[표 7-2] “새국어생활” 특집 목록호수 | 발행일 | 특집명 |
---|---|---|
제1권 1호 | 1991년 봄 | 한국인의 이름 |
제1권 2호 | 1991년 여름 |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
제1권 3호 | 1991년 가을 | 국어의 경어법 |
제1권 4호 | 1991년 겨울 | 동양 삼국의 언어 정책 |
제2권 1호 | 1992년 봄 | 국어사전의 뜻풀이 |
제2권 2호 | 1992년 여름 | 광고와 언어 |
제2권 3호 | 1992년 가을 | 언어 병리학의 이론과 실제 |
제2권 4호 | 1992년 겨울 | 동양 삼국의 사전 편찬에 관한 문제 |
제3권 1호 | 1993년 봄 | 한국어의 발음 |
제3권 2호 | 1993년 여름 | 한국어의 의성어⋅의태어 |
제3권 3호 | 1993년 가을 | 외솔 최현배 선생의 학문과 인간 |
제3권 4호 | 1993년 겨울 | 북한의 국어사전 |
제4권 1호 | 1994년 봄 | 한국의 지명 |
제4권 2호 | 1994년 여름 | 한국의 속담 |
제4권 3호 | 1994년 가을 | 일석 이희승 선생의 학문과 인간 |
제4권 4호 | 1994년 겨울 | 갑오경장 100년 기념 |
제5권 1호 | 1995년 봄 | 종합국어대사전 편찬 |
제5권 2호 | 1995년 여름 | 국어에 나타난 일본어의 언어적 간섭 |
제5권 3호 | 1995년 가을 | 한결 김윤경 선생의 학문과 인간 |
제5권 4호 | 1995년 겨울 | 신문⋅방송 언어 |
제6권 1호 | 1996년 봄 | 언어와 문학 |
제6권 2호 | 1996년 여름 | 21세기의 한글 |
제6권 3호 | 1996년 가을 | 건재 정인승 선생의 학문과 인간 |
제6권 4호 | 1996년 겨울 | 외래어 표기법 |
제7권 1호 | 1997년 봄 | 언어 습득 |
제7권 2호 | 1997년 여름 | 로마자 표기법 |
제7권 3호 | 1997년 가을 | 열운 장지영 선생의 학문과 인간 |
제7권 4호 | 1997년 겨울 | 차자 표기 |
제8권 1호 | 1998년 봄 | 사전 편찬에 대한 국어학적 접근 |
제8권 2호 | 1998년 여름 | 외래어 사용 실태와 순화 방안 |
제8권 3호 | 1998년 가을 | 석인 정태진 선생의 학문과 인간 |
제8권 4호 | 1998년 겨울 | 방언 |
제9권 1호 | 1999년 봄 | 국제 한자의 표준화 |
제9권 2호 | 1999년 여름 | 한자 문화권의 한자 교육 |
제9권 3호 | 1999년 가을 | 최세진의 학문과 인간 |
제9권 4호 | 1999년 겨울 | 한국인의 글쓰기 |
제10권 1호 | 2000년 봄 | 표준국어대사전 발간 |
제10권 2호 | 2000년 여름 | 학교 문법 |
제10권 3호 | 2000년 가을 | 서파 유희 선생의 학문과 인간 |
제10권 4호 | 2000년 겨울 | 로마자 표기법 정착 방안 |
제11권 1호 | 2001년 봄 |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하여 |
제11권 2호 | 2001년 여름 | 한국어 자료 정리 방안 |
제11권 3호 | 2001년 가을 | 설총 선생과 국어 |
제11권 4호 | 2001년 겨울 | 영어 공용어화 |
제12권 1호 | 2002년 봄 | 띄어쓰기 |
제12권 2호 | 2002년 여름 | 한국인의 국어 능력 |
제12권 3호 | 2002년 가을 |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
제12권 4호 | 2002년 겨울 | 문장부호 |
제13권 1호 | 2003년 봄 | 표준 화법 |
제13권 2호 | 2003년 여름 | 국어 진흥을 위한 법과 제도의 정비 |
제13권 3호 | 2003년 가을 | 국어의 기초 어휘와 기본 어휘 |
제13권 4호 | 2003년 겨울 | 방언과 문화 |
제14권 1호 | 2004년 봄 | 표준어 정책, 비판적 접근과 대안 모색 |
제14권 2호 | 2004년 여름 | 외래어와 외국어 |
제14권 3호 | 2004년 가을 | 바람직한 국어 생활을 위한 국어 교육 |
제14권 4호 | 2004년 겨울 | 언어와 사회 |
제15권 1호 | 2005년 봄 | 국어 순화 |
제15권 2호 | 2005년 여름 | 매체 환경의 변화와 국어 생활 |
제15권 3호 | 2005년 가을 | 국어기본법과 국어기본법 시행령 |
제15권 4호 | 2005년 겨울 | 논술⋅구술 교육의 올바른 방향 정립 |
제16권 1호 | 2006년 봄 | 소외 계층 언어 실태와 언어 정책 |
제16권 2호 | 2006년 여름 | 한국어교원 자격시험과 검정 시험 제도 |
제16권 3호 | 2006년 가을 | 국경일로 다시 태어난 한글날 |
제16권 4호 | 2006년 겨울 | 신어 |
제17권 1호 | 2007년 봄 | 전문용어와 국어 생활 |
제17권 2호 | 2007년 여름 | 국어 발전 기본 계획 |
제17권 3호 | 2007년 가을 | 한국어의 어휘 의미망 |
제17권 4호 | 2007년 겨울 | 사라져 가는 언어들 |
제18권 1호 | 2008년 봄 | 다문화 사회와 한국어 |
제18권 2호 | 2008년 여름 | 영어 공교육 강화와 한국어 |
제18권 3호 | 2008년 가을 | 국외 한국어교육과 세종학당 |
제18권 4호 | 2008년 겨울 | 외래어 표기 반성 |
제19권 1호 | 2009년 봄 | 세종계획의 성과와 전망 |
제19권 2호 | 2009년 여름 | 국민의 문해력 |
제19권 3호 | 2009년 가을 | 국어능력시험의 현황과 발전 방안 |
제19권 4호 | 2009년 겨울 | 새로운 사전 편찬의 의미와 과제 |
제20권 1호 | 2010년 봄 | 국어 시험과 국어 능력 |
제20권 2호 | 2010년 여름 | 장애인 언어 복지 정책의 현황과 과제 |
제20권 3호 | 2010년 가을 | 지역어 조사⋅보존 사업의 성과와 방향 |
제20권 4호 | 2010년 겨울 | 새국어생활 20년의 성과와 반성/새국어생활에 바란다 |
[그림 7-1] “새국어생활” 역대 표지